인하 온라인저널리즘 기사155 불안한 안보관 해소할 수 있는 대통령 지금 대한민국은 ‘풍전등화의’ 위기에 있다. 지난해 10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통렬하게 비판한 언론보도를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국민은 분노의 목소리를 표출했다. 이번 사건은 국민의 힘으로 절대로 무너뜨릴 수 없는 두꺼운 권력이라는 벽이었다. 상처받은 대한민국 국민들은 현 시국을 비판하고자 권력에 계속 부딪치며 거리에 나섰다. 그 결과 국민의 촛불이 무능한 박근혜 정권을 통쾌하게 뒤집는 활약을 하였다. 반전이란 절대 일어날 수 없을 것 같았던 힘의 저울도 3월10일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이라는 결과로 기울어졌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민주주의의 바람이 불었다. 2017년 5월 9일 우리는 국민의 권리인 선거로 직접 대한민국을 이끌 현명한 지도자인 19대 대통령 문재인을 선택했다. 5월 10일 대한민국의 문재.. 2017. 5. 3. (수정) 나는 이런 대통령을 원한다 지금이야말로 주체적인 인물을 대통령으로 지난 3월 10일 대통령 박근혜가 헌법재판소의 탄핵가결로 파면되었다. 이는 부패한 정치인에 대한 국민의 심판을 의미하며, 제아무리 한 나라의 원수라 할지라도 국민의 지지가 없으면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건이다. 게다가 투쟁과 같은 피가 묻은 혁명이 아닌, 작은 촛불들이 광화문으로 하나하나 모여 평화시위로 이루어낸 무혈혁명이었다. 이는 성숙한 시민의식이 있었기에 가능했으며, 한국 사회가 한층 더 발전했음을 의미하기도 하는 역사적인 순간이었다. 그렇다면 박근혜란 부패한 정치인의 처벌로 우리의 역할은 다 한 것일까? 그것은 아니다. 우리에게는 아직 해야 할 일이 한 가지 더 있다. 바로 5월 9일에 있을 제 19대 대통령 선거이다. 이제 우리는 다시 한 번 우리.. 2017. 5. 2. (수정)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대통령 (수정) 제목: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대통령 “기준을 하나로 정하면 판단은 명확해 집니다. 나의 목표는 국민의 행복이고 따라서 내가 가진 단 하나의 기준은 국민입니다.” 핀란드 역사상 최초의 여성대통령이었던 제 11대 핀란드 대통령 타르야 할로넨이 한 말이다. 국민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리더의 참모습을 보여준 타르야 할로넨 전 대통령은 재임기간과 퇴임을 할 당시에도 국민 지지율 80퍼센트를 웃돌았다. 위와 같은 사례처럼 한 대통령이 처음부터 끝까지 존경과 신뢰를 얻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대통령은 항상 국민의 신뢰를 위해 노력해야한다. 5월 9일 장미대선을 앞두고서 역대 우리나라의 대통령들을 살펴본다면 어떠한가? 그들이 국민을 기준으로 그 책무를 다하였는가? 선뜻 그러하다고 대답할 수 있는 .. 2017. 5. 2. (수정) 나는 이런 대통령을 원한다. 촛불과 함께 유난히 뜨거웠던 겨울지났다. 지난 겨울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지켜내기 위한 국민들의 소망으로 모인 따뜻한 촛불이 추운 거리를 가득 메웠다. 박 전 대통령의 헌정 사상 첫 탄핵이라는 결과로 우리 국민들은 촛불로 혁명을 일으켰다. 지난 ‘최순실 게이트’, ‘비선실세 의혹’을 통해 드러난 정치권의 온갖 비리와 이에 대응하는 관련인들의 태도는 국가 그리고 그들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을 더욱 뿌리깊게 만들었다. 대선 후보들이라고 해서 다를 바는 없다. 그들은 공수표를 남발하며 가는 곳 마다 그들이 듣고 싶어하는 소리를 잔뜩 늘어놓고는 돌아서면 딴소리를 하고, 어렵고 곤란한 질문엔 얼버무려버리거나 입을 닫아버린다. 대선 후보들을 보며 촛불 혁명을 통해 희망을 본 국민들은 다시 한번 허무감과 실망감만을 느.. 2017. 5. 2.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