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남북정상회담3

남북이산가족 상봉 선친의 고향은 함경남도 신포였다. 한국전쟁 당시 잠깐 피란을 갔다 오겠다며 남으로 내려왔지만 그걸로 끝이었다. 북에 두고 온 어머니를 간절히 그리며 아버지는 눈을 감았다. 아무런 경제적 능력이 없는 젊은 아내와 어린 자식들을 남겨 둔 채. '통일'이란 단어를 접할 때마다 눈시울이 뜨거워진 건 나라의 앞날을 걱정하는 숭고한 뜻이 있어서가 아니었다. 선친을 향한 얼마간의 원망이 가슴을 짓눌렀기 때문이다. 노래방에서 강산에의 '라구요'를 부를 때 이따금 목이 메고 눈물을 찔끔거리는 이유를 사람들은 잘 몰랐을 것이다. 빛 바랜 흑백사진만으로 만날 수 있었던 아버지를 이해하기 시작한 때는 결혼하고 아이를 낳은 뒤부터이다. 북쪽엔 어머니, 남쪽엔 처자식을 남겨두고 세상을 떠나는 심정이 어땠을까. 아버지가 돼 보니 .. 2018. 5. 3.
한반도 운전자론과 고려의 다원외교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남북정상회담, 북미정상회담 등 한반도가 평화의 땅으로 가고 있는 것은 정말 다행인 일이다. 그러나 자칫 작은 변수라도 돌출할 경우 어떤 결과가 나올 지 누구도 장담할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이 '살얼음판을 걷고 있다'고 표현한 것은 우려가 아니라 현실이다. 남북 관계를 둘러싼 국제적 환경엔 미국은 물론 한·미·일 공조의 균열을 우려하며 소심하게 끼어드는 일본, 조용히 지켜보는 중국과 러시아의 불안한 방관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는 올해로 '건국 1100주년'을 맞는 '고려의 외교술'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고려는 한마디로 여러 나라와 외교를 하되 결정적인 순간엔 실리를 취하는 '다원적 외교' '등거리 외교'를 매우 전략적으로 실행한 국가였다. 고려는 거란이 멸망하는 12세기 .. 2018. 3. 20.
우리는 염원한다, 남북통일을...  평창동계올림픽 기간,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을 단장으로 한 북한 고위급대표단이 들어오고 나간 길은 '경의선' 육로다.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이 이끄는 북한예술단과 응원단이 오간 통로 역시 같은 길이었다. 서울과 신의주를 잇는 499km의 경의선은 1906년 개통했으나 6.25전쟁으로 한 가운데가 끊어진다. 다시 길이 놓인 때는 2003년 10월이다. 2000년 남북정상회담 공동선언에 따라 그 해 9월 공사를 재개해 3년 만에 완공하기 전까지, 반세기동안 경의선 길은 수풀로 뒤덮여 있었다. 경의선 공사 전 과정을 기록한 사람은 인천 소래 출신 사진가 최병관이다. 지뢰제거에서부터 지반공사, 전리품 수거 등 짧은 기간 동안 무수한 '분단의 사연'이 그의 카메라에 담겼다. 뉴욕 UN본부에서 우리나라 사진가로.. 2018. 3. 7.